황제와 치우의 싸움은 신화집이자 지리서인 [산해경]을 출전으로 하는 이야기입니다.
이매망량, 지남차 등과 함께 살펴 보겠습니다.
* 黄帝战蚩尤 [huángdì zhàn chī yóu] 황제와 치우의 싸움
4~5천 년 전에 황하 유역에 모여살던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황제는 웅씨 부족의 추장이었고, 다른 부족들도 많았는데, 모두 황제를 존경하여 부족 연맹의 추장으로 추대했습니다. 행복하고 즐거운 날. 황제는 이 시대에 태어나 웅씨 부족(熊氏部族)의 우두머리였습니다. 다른 부족들도 많았는데, 모두 황제를 존경하여 부족 연맹의 추장(酋长)으로 추대했습니다.
이 일 치우(蚩尤)의 불만을 불러일으켰는데, 그는 숨겨진 동굴에서 그의 81명의 형제에게 화가 나서 말했습니다:
"황제가 수원과 녹지를 모두 차지했는데, 우리는 무엇을 먹고 마시란 말인가? 그는 일부러 우리를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넣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럼 우리 황제와 한판 붙자, 누가 센지! "
전설에서 치우는 구려족(九黎族)의 추장으로 구리로 된 머리, 철로 된 이마, 네 개의 눈을 가지고 있으며 흉악한 모습이었다고 전해집니다. 그는 81명의 형제를 거느리고 전차를 타고 포효하며 나아갔습니다. 전차 앞에는 승냥이, 호랑이, 표범 등 맹수들이 있었고, 전차 뒤에는 이매망량( 魑魅魍魉 )이 황제의 부족을 향해 돌진했습니다.
*豺狼虎豹 [chái láng hǔ bào] 승냥이·이리·범·표범, 맹수의 총칭. 짐승 같은 놈들.
*魑魅魍魉 [chī mèi wǎng liǎng]] 이매망량 (온갖 귀신들의 총칭)
중국 드라마 <운지우>에서는 이매망량이 살수 조직의 등급으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황제는 급히 군대를 인솔하여 전투를 치렀고, 쌍방은 날이 칠흑같이 어두워질 때까지 싸워 치우의 부대는 잇달아 패퇴했습니다. (节节败退) 황제가 승승장구하며 추격하려 할 때 갑자기 짙은 안개가 하늘에서 내리더니, 한 덩어리의 안개가 황제의 군사를 포위해버렸습니다. 끝없이 하얀 안개 속에서 손을 뻗어도 한 치 앞도 보이지 않아, 황제의 군대는 갑자기 방향을 잃었습니다.
안쪽에 짙은 안개가 자욱하고 밖에는 치우의 대군이 포위하고 있는데 바로 이 위기의 순간에 황제는북 하나와 지남차 한 대를 찾아왔습니다. 이 북(전고战鼓: 옛날 진중에서 치던 북, 전투 개시의 신호) 동해의 기(夔kuí)라는 괴수의 가죽으로 만든 특별한 북이라고 합니다. 기라는 괴물은 용처럼 생겼지만 머리에 뿔이 없고, 한쪽 발만 달려 있어 튀어올라 다녔다고 합니다. 바다에 뛰어들 때마다 거센 바람과 비를 몰고 오고, 그 울음소리는 천둥과 같으며, 두 눈은 번개와 같아 번쩍이는 빛을 냈다고 합니다. 만약 그 가죽으로 북을 만들고 뇌수(뇌신)의 뼈로 북채를 만든다면, 한 번 치면 천지를 진동하는 소리가 나서 수백 리 밖의 사람들도 들을 수 있다고 합니다.그리고 지남차(南车车)는 차 위에 작은 사람이 있어 항상 남쪽을 가리키기 때문에, 그를 따라가는 한 한 안개 속에서 길을 잃지 않을 것입니다.
치우의 병사는 전고가 내는 소리를 듣고, 신룡과 뇌공이 와서 황제를 돕는 줄 알고, 두려워하며, 마치 제방에서 물이 터진 것 마냥 빠르고 급하게 도망갔습니다. 이때 치우도 둥둥거리는 소리를 희미하게 들었지만, 그는 듣지 못한 듯 붉어진 두 눈을 부릅뜨고 미친 듯이 소리쳤습니다.
"나가자!!"
치우가 큰 칼을 들자 부하들은 모두 식은땀을 흘리고 아무도 감히 더 이상 물러서지 못하고 억지로 안개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이 부하들은 들어간 후 다시 나오지 못했습니다. 이때 황제는 이미 지남차를 이용하여 안개를 뚫고 나와 치우가 손쓸 틈도 없이 그를 죽였습니다. *措手不及 [cuò shǒu bù jí] 미처 손을 쓸 새가 없다. 어찌할 바를 몰라 당황하다.
황제가 치우를 무찌른 후, 각 부족의 사람들이 모두 와서 감사를 표했고, 그들도 황제의 부족과 합치기를 원하여 하나의 대부족을 형성했습니다. 그래서 황제는 전설 속에서 중국인의 조상이라고 불립니다.
*说给儿童的中国历史 책 중의 내용 일부를 번역한 것입니다.
'중국문화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문화사] 강태공 이야기 (0) | 2024.06.29 |
---|---|
[중국문화사] 大禹治水 (우 임금의 치수 이야기) (0) | 2024.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