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진나라(秦)의 성립
500여년에 걸친 춘추 전국 시대의 혼란을 수습한 것은 가장 서쪽에 위치한 진이었다. 즉 전국 칠웅 가운데 진이 나머지 6국을 통일한 것이다. 진이 전국을 통일하게 된 것은 기원전 4C경 법가인 상앙을 등용하는 등 일찍부터 법가의 학설을 수용하고, 토지 자유제로서 농업 생산을 높인 것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제도를 개혁하며, 법치주의에 의한 부국 강병에 힘썼기 때문이었다.이후 진은 여섯 나라를 차츰 무너뜨리고 중국을 최초로 통일하였다. (기원전 221).
통일 후 진왕 정은 자신을 시황제라 칭하였는데, 최초의 황제라는 뜻이다.
1) 군현제 실시 (중앙집권적 통치)
전국을 36군으로 나누었다. 그리고주의 봉건 제도를 폐지하고, 전국을 군과 현으로 나누어 중앙 정부에서 임명한 관리가 통치하는 군현 제도를 실시함으로써 강력한 중앙 집권적 국가를 이루었다.
<그림 설명> 정치: 중앙집권의 관료제도 건립
황제 - 승상 - 군수 - 현령 으로 이루어져 있음.
중앙에는 태위, 승상, 어사대부가 있으며 지방에는 군수와 현령으로 구성되어 중앙에서 임명한 관리가 통치하는 중앙집권적 체제임을 알 수 있음.
2) 화폐,문자,도량형의 통일
진시황제는 이 통일 제국의 통치에 필요한 도로를 정비하고, 지금까지 서로 다르던 화폐, 도량형 및 문자를 통일하였다.
3) 분서갱유 등 사상통제
또한 그는 이사와 같은 법가의 사상을 좇아 강력한 사상 통제를 감행하였다. 또한, 그는 그의 정치에 대하여 비판적인 학자를 죽이고, 반대되는 사상이 담긴 서적을 불태우는 등 이른바 분서 갱유를 단행하였다.
4) 흉노 정벌 및 만리장성 축조
한편 북으로는 유목 민족인 흉노를 밀어내고 만리장성을 쌓았으며, 남으로는 광둥과 베트남 북부 지역까지 영토를 넓혔다. 이때 확보한 영토는 이후 중국 영토의 원형이 되었다. 그러나 진의 가혹한 통치와 대규모 토목 공사는 농민의 반발을 샀다. 결국 시황제가 죽자 진승·오광의 난을 비롯한 반란이 각지에서 일어나 멸망하였다(기원전 206).
'중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항우와 유방의 대결 (1) | 2024.07.08 |
---|---|
3.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 사상의 등장 (0) | 2024.07.01 |
2. 춘추 전국 시대의 전개 (0) | 2024.06.24 |
1. 황하 문명과 하, 은, 주 왕조 (0) | 2024.06.23 |